섭씨
약어/상징:
섭씨온도
백분도
섭씨온도
섭씨온도
Wordwide use:
유럽에서 이미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섭씨눈금은 20세기 중후반에 대부분의 나라에서 사용되던 화씨 눈금을 대체했다.하지만 여전히 화씨는 미국,케이맨 섬과 벨리즈에서 공식적 눈금으로 사용된다.
Definition:
비록 초기에는 물의 빙점에 의해 정의되었지만 (그리고 나중에 얼음의 용해점), 섭씨 눈금은 현재는 공식적으로 켈빈 온도 눈금에 관하여 정의되는 유도 눈금이다.비록 초기에는 물의 빙점에 의해 정의되었지만 (그리고 나중에 얼음의 용해점), 섭씨 눈금은 현재는 공식적으로 켈빈 온도 눈금에 관하여 정의되는 유도 눈금이다.
섭씨 눈금(0 °C) 에서의 영도는 현재 273.15 K와 동일하다고 정의된다. 섭씨 1도의 온도차는 1k 온도차와 같다는 의미는 각 눈금의 단위 크기가 같다는 뜻이다. 이전에 비등점으로 정의되었던 섭씨 100도는 현재 373.15 K와 동일하다고 정의된다.섭씨 눈금(0 °C) 에서의 영도는 현재 273.15 K와 동일하다고 정의된다. 섭씨 1도의 온도차는 1k 온도차와 같다는 의미는 각 눈금의 단위 크기가 같다는 뜻이다. 이전에 비등점으로 정의되었던 섭씨 100도는 현재 373.15 K와 동일하다고 정의된다.
섭씨 눈금은 비율 시스템이 아닌 구간적 시스템이며 이는 절대적 눈금이 아닌 상대적 눈금을 따른다는 뜻이다. 섭씨 20도와 30도 사이의 온도 간격은 섭씨 30도와 40도 사이와 같지만 섭씨 40도가 섭씨 20도의 공기 열의 힘을 두배나 더 가지고 있지는 않다는 사실에서 목격할 수 있다.섭씨 눈금은 비율 시스템이 아닌 구간적 시스템이며 이는 절대적 눈금이 아닌 상대적 눈금을 따른다는 뜻이다. 섭씨 20도와 30도 사이의 온도 간격은 섭씨 30도와 40도 사이와 같지만 섭씨 40도가 섭씨 20도의 공기 열의 힘을 두배나 더 가지고 있지는 않다는 사실에서 목격할 수 있다.
섭씨 1도의 온도차는 화씨1.8 °도의 온도차와 같다.
Origin:
섭씨 눈금은 스웨덴 천문학자 안더스 셀시우스(1701-1744) 이름에서 따왔다. 1742년 셀시우스는 영도가 물의 끓는점이고 100도는 빙점이라는 온도 눈금을 만들었다.
당시 다른 물리학자들은 이와 비슷한 눈금을 독립적으로 개발하였는데 영도는 얼음의 융해점이고 100도는 물의 끎는점이라는 완전히 반대되는 이론이였다. 일반적으로 백분법 눈금이라고도 언급되는 이 새로운 ' 포워드' 눈금은 유럽 대륙에서 활발하게 사용되어왔다.
1948년에 이 눈금은 각계측으로써 사용되는 백분법 눈금과의 혼돈을 방지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셀시우스 눈금'이라고 명해졌다.
Common references:
절대 영도,-273.15 °C절대 영도,-273.15 °C절대 영도,-273.15 °C
얼음의 융해점,섭씨 0도 (실제 섭씨 -0.0001도)얼음의 융해점,섭씨 0도 (실제 섭씨 -0.0001도)얼음의 융해점,섭씨 0도 (실제 섭씨 -0.0001도)
온화한 기후에서의 따뜻한 여름날, 섭씨 22도온화한 기후에서의 따뜻한 여름날, 섭씨 22도온화한 기후에서의 따뜻한 여름날, 섭씨 22도
정상적 사람 체온, 섭씨 37 도정상적 사람 체온, 섭씨 37 도정상적 사람 체온, 섭씨 37 도
1대기압에서의 물의 끓는점, 섭씨 99.9839 도1대기압에서의 물의 끓는점, 섭씨 99.9839 도1대기압에서의 물의 끓는점, 섭씨 99.9839 도
Usage context:
유럽에서 이미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섭씨눈금은 20세기 중후반에 대부분의 나라에서 사용되던 화씨 눈금을 대체했다.하지만 여전히 화씨는 미국,케이맨 섬과 벨리즈에서 공식적 눈금으로 사용된다.